LED로 바꾸면 전기가 얼마나 절약될까?
전세나 월세에 살거나 4년안에 이사계획이 있다면 안바꾸는 게 좋다.
아파트 30평형 보통 방3개, 화장실 2개, 거실, 주방, 발코니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공간들을 모두 LED등으로 바꾼다면 80~100만원 정도가 든다. 시공비, 인건비 등을 포함한 비용이다. 아무래도 아직은 LED 등 가격이 저렴한 편은 아니다.
예를 들어서 보통 사용하는 거실 등을 LED로 바꾸려면 등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아예 전체를 다 갈아야한다. LED 등은 구조 자체가 다르다. 작은 반도체 칩이 들어가 있어서 아예 통째로 새 제품으로 구매를 해야한다. 이런 등이 저렴한게 10만원 안 밖이다.
마트에서 보면 LED 전구라고 팔던데 그걸 사다가 끼우면 안되는 건가?
그건 좀 싸다. 만원에서 이만원 정도. 보통 백열등과 형광등이 삼천원에서 만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보다는 비싸지만.
이 제품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대부분은 전구모양이다. 집에 돌려서 뺏다 꼈다 하는 전구가 들어가는 조명 제품 정도만 셀프로 교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나머지는 전선을 새로 연결하는 복잡함과 위험함이 있어서 혼자하긴 어렵다. 아직까지는 LED 등 값이 싸지는 않고 시공업체 불러서 교체해야하기 때문에 비용이 든다.
30평형 기준으로 LED 등으로 전부 바꾸면 전기요금이 얼마나 줄어드나?
지난해 5월 35평 아파트 전체를 LED 조명으로 바꿨다는 분의 인터뷰
교체 비용은 100만원 안쪽으로 들었고, 전기요금은 20%정도 절감된 듯하다. 5년 이상만 쓰면 초기 설치비는 회수 할 수 있을 듯 하다.
녹색소비자연대가 실제 아파트 30평형대에 교체비 80만원을 들여서 LED 조명으로 교체했는데 한달 전기세 15,000원이 줄었다는 계산이 나왔다. 1년이면 18만원 4년정도면 교체비를 회수할 수 있다. 집 평수에 따라 기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 그리고 LED 전구의 수명을 비교해보면 형광등은 6천~8천시간 정도, LED는 3만~5만시간 정도이다.
평균 하루 8시간을 쓴다는 가정하에 형광등은 2년을 좀 넘게 쓰고 LED는 10년을 넘게 쓸 수 있다.
보통 가정에서 전부다 LED 등으로 바꾸면 전기요금을 1년에 약 20만원 정도 아낄 수 있다는 이야기. 물론 전기요금를 얼마나 쓰느냐에 따라 약간 다를 것이다.
물론 한달 총 전기요금 중에 보통 조명이 차지하는 비중이 20%정도이다. 전기요금 절약이 체감할 때는 미미할 수도 있다. 또 전기요금을 비교할 때 흔히하는 실수가 있는데 11월과 12월 이렇게 지난 달과 이번 달을 비교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11월에 안쓰던 전기장판을 12월에 썼으니 기껏 조명에서 아낀 비용 전기장판 사용으로 늘어날 수 있다. 요금을 비교할 때에는 1년전 같은 달과 비교해야한다. 또 LED등 가격이 처음 출시됐을 때 보다 50% 정도 싸졌기 때문에 앞으로는 점점 더 저렴해 질테니 손해보는 장사는 아니다. 전기요금을 많이쓰는 집이나 집에서 오래 지내는 분들은 전기요금 절감효과가 클 것이다.
그렇다면 LED 조명 선택 시 고려할 점은?
일단 디자인에 따라 가격차이가 있다. 싼건 들어 있는 칩이 중국산인 경우가 있다. 중국산은 절약도 안되고 고장도 잦다고 하니 국산을 고르는 것이 좋다.
KC, KS 인증마크 확인, 에너지고효율제품 인증마크가 찍힌 것들은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다. 중간에 1~2년쓰고 고장나면 반드시 AS가 필요할 수 있으니 AS 보장기간도 확인하는 것이 좋다. AS업체 연락처는 마트에 파는 LED 전구 박스에도 써있으니 잘 보시고, 시공업체의 경우는 AS기간 길게 잡힌곳을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LED 조명 사용하면 왜 전기가 절약되나?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바꿀 때 사용되는 에너지의 양이 일반 조명들에 비해 덜 든다. LED 전구를 고를 때 중요 한 점이 전구에 보면 W(와트: 한시간당 사용되는 전력소비량) 전력소비량이 형광등의 거의 절반이다. 긴 형광등이 55W정도 되면, LED로 바꾸면 21~25W를 선택하면 밝기는 같은데 전기 잡아먹는 건 절반이다.
LED 등의 장점이 다 쓸때까지 빛의 밝기가 일정하고 친환경적이라고 하는데, 바꾸려면 친절하게 설명 받을 만한 곳이 있는지?
서울은 LED허브센터 서울의 4개지역만 설립이 되어 있다.
전국 어디서든지 교체비용이나 궁금증 문의할 수 있는 번호는 02-3272-2383, 02-3272-2383 (LED허브센터를 운영하는 녹색소비자연대)
2014년 12월 22일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7월 27일 발표한 청년고용종합대책? (0) | 2015.07.30 |
---|---|
2016년부터 적용되는 가계부채 종합대책 내용은? (0) | 2015.07.28 |
최저임금은 어떤 기준으로 정해질까? (0) | 2015.07.22 |
병원에는 왜 가격표가 없나? (비급여항목 병원별 병원비 조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0) | 2015.07.22 |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SA는 무엇인가? (0) | 2015.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