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가 새로운 먹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해외 시장을 확보해야 한다. 이런 목소리가 높은데, 그럼 어디로 가야되느냐. 한국무역협회에서는 VIM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이 세 나라를 뽑았다. 

그 중 미얀마에 대해 알아보자.



왜 미얀마를 우리가 주목해야 하나? 


버마라는 옛이름으로 더욱 친숙한 미얀마는 1962년부터 집권한 군부의 인권탄압으로 미국 등의 제재조치를 받아왔다. 2011년 개방경제로 돌아선 이후에 매년 7~8%의 고속성장을 거듭해왔다. 이번에 아웅산수치 여사가 이끄는 야당이 총선에서 승리함으로써 개방에 대한 요구가 더 커질것으로 보고있다. 내년 3월에 군부의 약속대로 야당에게 정권이 순조롭게 이양된다면, 미국이 경제 제재 조치를 풀고 특혜 관세를 줘서 미얀마가 본격적으로 전세계의 섬유, 봉제, 신발제조 기지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세를 오히려 더 특혜를 주나? 예를 들어 신발이면, 다른 나라에서 수출하는 신발보다 미얀마에서 만든 신발이 미국으로 넘어갈 때는 관세가 더 싸지나?


그렇다. 제재조치가 풀리면서 일반 특혜가 GNP 혜택을 받게 되면 평균 20% 정도인 이들 품목의 관세가 10%p 정도 낮아지게 된다. 



낮아진 이후의 관세는 다른나라보다 더 경쟁력이 있나? 비슷한가?


다른 나라보다 경쟁력이 있다. 미얀마가 가진 이점은 천연가스와 구리같은 천연자원이 풍부하고 지리적 이저모 있다. 지금 중국, 인도, 태국, 라오스, 방글라데시 5개 국가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반경 2000km 이내 20억명의 소비 시장이 있다. 또 한가지는 동남아 한류의 원조국가가 미얀마라서 한류 열기가 아주 뜨겁다. 한달 전에 출장을 다녀왔는데 한류 열기를 몸으로 느낄 수 있었고 우리나라 기업에 대한 평판도 좋다. 가난한 나라에서 반세기만에 선진국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한국의 경제성장 노하우를 배우려는 열의가 매우 높다. 실제 미얀마 정부가 요청해서 수도 네피도에 한국개발연구원 KDI와 같은 국가개발전략 싱크탱크인 가칭 미얀마개발전략연구원이 올해 말 부터 착수해서 2019년에 설립될 예정이다.



대개는 초기 저개발 국가를 들어가는 기업들을 보면 싼 인건비가 가장 매력인 포인트로 진출하게 되는데 미얀마의 한달 인건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어느정도 되나?


제조업의 평균 급여가 한달에 약 100달러 중국의 1/5, 베트남의 1/3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봉제업종의 경우 인건비가 많이 오르고 있는 중국과 베트남으로부터 공장을 옮겨온 사례도 있다고 한다. 



미얀마와 국경 맞대고 있다고하는 라오스, 캄보디아와 비교해도 많이 싼 건가?


그렇다. 통계를 봤더니 태국의 경우 제조업 근로자 월급이 216달러, 캄보디아 128달러, 라오스 111달러로 미얀마보다 높은 편이다. 



반대로 투자하는 입장에서 볼 때 미얀마의 단점이 있다면?


미얀마가 장기간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부정부패 문제와 함께 법률과 인허가 등의 제도가 글로벌 스탠다드에 못 미치는 경향을 보인다. 2012년 11월에 신외국인투자 법안이 시행되면서 외국인 직접 투자와 관련된 제도적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기는 했으나 아직 미흡한 편이다. 


실제로 세계은행이 실시한 2015년 비즈니스 환경 조사에서 투자가 보호가 전체 대상국 중 178위 계약이행 부분이 188개국 가운데 185위에 그치는 등 아직 정책의 일관성 측면에서는 미흡하다. 인허가 내줬다가 취소하는 등의 사례들이 생긴다.



우리나라 기업들 중에 이런 기업들은 진출해보는 게 괜찮겠다 하는 업종들이나 어떤 기업들에게 괜찮을거라 보는지?


미얀마가 전력, 통신, 항만 등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에 해외기업을 유치해서 투자하려고 희망하고 있다. 그에 따라 인프라 분야가 유망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고, 앞서 이야기한 것 처럼 임금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봉제, 신발 등 노동집약적 제조업에 진출이 유망하다. 한류 붐에 따라 외식 프랜차이즈 비비큐나 불고기브라더스, 롯데리아가 인기를 끌고 있었다. 한류나 인건비 운영하면 좋은 곳들 아니면 전기설비업체 같은 인프라업체들이 유망하다.



2015년 11월 19일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with 한국무역협회 김용태 전략시장연구실장)

 

 

 

 


Posted by 사실은가지
,